갑상선결절은 갑상선세포가 자라나서 갑상선 안에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대부분의 갑상선 결절은 별다른 증상이 없습니다. 드물게 통증, 음식물을 삼키는 것이 어려움, 호흡곤란, 목소리 변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을 과다 분비하는 기능성 갑상선 결절의 경우 갑상선 중독증의 증상(빈맥, 손발 떨림, 불안증, 체중감소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갑상선 결절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갑상선암입니다. 다행히 그 빈도는 전체 만져지는 갑상선 결절의 10% 미만입니다. 달리 말하면 8-90%는 양성 갑상선 결절이므로 갑상선 결절은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갑상선 암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갑상선 세포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전자의 재배치, 돌연변이 등으로 인하여 종양세포의 증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의 재배치나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현재 밝혀진 것은 방사선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에서는 아직 원인을 모르고 있습니다.
요오드 결핍지역에서 생기는 미만성 갑상선 종이나 갑상선 결절은 요오드 섭취를 늘리면 그 크기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요오드 결핍 지역이 아니므로 요오드 결핍이 증명된 극히 일부의 경우 이외에는 요오드의 섭취량이 결절이나 갑상선종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요오드 함유 음식의 섭취를 권유하지도 금지하지도 않고 평상시대로 드시면 됩니다. 다만 갑상선 결절과 함께 갑상선염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다시마환 등을 이용한 고용량의 요오드 섭취의 경우 기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고용량의 요오드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으며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