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부정맥

부정맥의 분류

부정맥은 발생기전에 따라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및 혼합장애로 구분되며 발생부위에 따라서 심실상성 및 심실성 부정맥으로 구분됩니다.

부정맥의 분류 1. 자극형성장애
1) 심실상성 부정맥: 동성 자극형성장애(동결절), 이소성 자극형성장애(방실결절) 2) 심실성 부정맥 2. 자극전도장애 3. 혼합형의 장애

부정맥은 발생기전, 맥박수, 발생부위, 그리고 전도장애가 발생한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자극형성장애

동결절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을 만드는 페이스 메이커(Pacemaker)역할을 담당하며 동결절의 전기 리듬이 동방결절을 통해 심장 전체로 퍼져나가면서 심장이 규칙적인 펌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극형성장애란 동결절의 전기적 리듬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거나 동결절이 아닌 다른 부위에서 리듬을 형성함으로써 부정맥이 발생하는 유형을 말합니다.

자극형성장애에 의한 부정맥은 발생 부위에 따라 심실상성 부정맥과 심실성 부정맥으로 구분됩니다.

1) 심실상(上)성 부정맥

심장의 위쪽 부분을 구성하는 심방은 좌심방과 우심방으로 나누어지며 심장의 아래쪽 부분을 구성하는 심실은 좌심실과 우심실로 나누어집니다.

심실상(上)성 부정맥은 심실의 위쪽에 위치하는 동결절이나 심방, 그리고 심방과 심실의 경계부위인 방실접합부의 전기 자극형성장애에 기인한 부정맥을 말합니다.

(1) 동성 자극형성장애

동결절의 자극형성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동빈맥(Sinus Tachycardia) : 동결절의 자극형성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져서 발생하는 부정맥
  • 동서맥(Sinus Bradycardia) : 동결절의 자극형성이 비정상적으로 느려져서 발생하는 부정맥
  • 동부정맥(Sinus Arrhythmia) : 동결절의 자극형성이 불규칙하여 발생하는 부정맥
  • 동정지(Sinus Arrest) 또는 동휴지(Sinus Pause) : 동결절의 자극형성이 멈추거나 일시적으로 휴식(건너 뜀)하여 발생하는 부정맥
(2) 이소성 자극형성

동결절이 아닌 다른 부위에서 전기 자극이 형성됨으로써 발생하는 부정맥으로 발생 부위에 따라 심방성 자극형성과 방실접합부성 자극형성으로 구분됩니다.

  • 심방성 자극형성 : 심방에서 이소성 자극이 형성된 것으로 심방조기박동, 심방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좌심방율동, 다소성 심방빈맥 등이 있습니다.
  • 방실접합부성 자극형성 : 심방과 심실이 만나는 접합부위에서 이소성 자극이 형성된 것으로 방실접합부성 이탈박동, 방실접합부 조기박동, 방실접합부 빈맥, 이주심박조율 등이 있습니다.

2) 심실성 부정맥

심실성부정맥은 심장의 아래부분을 구성하는 심실 부위의 전기 자극형성장애에 기인한 부정맥을 말합니다. 심실조기박동, 심실빈맥, 다형성 심실빈맥, 심실조동, 심실세동, 가속성 심실고유율동 등이 있습니다.

2. 자극전도장애

동결절이 만드는 심장의 전기적 리듬은 심장 내에 존재하는 전도섬유를 따라 심장 전체로 퍼져나감으로써 심장을 동결절의 리듬에 맞춰 박동하게 합니다.

이 유형의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신호 전도계에 발생한 이상으로 인해 동결절이 정상적인 전기리듬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심장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못하고 부정맥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1) 동방전도장애

동결절과 심방의 전도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한 부정맥

(2) 심방내전도장애

심방 내부의 전도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한 부정맥

(3) 방실전도장애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한 부정맥

(4) 심실내전도장애

심실 내부의 전도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한 부정맥.

3. 혼합형의 장애

자극형성장애와 자극전도장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부정맥을 말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 / 순환기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