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은 발생기전에 따라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및 혼합장애로 구분되며 발생부위에 따라서 심실상성 및 심실성 부정맥으로 구분됩니다.
부정맥은 발생기전, 맥박수, 발생부위, 그리고 전도장애가 발생한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동결절은 심장의 정상적인 리듬을 만드는 페이스 메이커(Pacemaker)역할을 담당하며 동결절의 전기 리듬이 동방결절을 통해 심장 전체로 퍼져나가면서 심장이 규칙적인 펌프운동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자극형성장애란 동결절의 전기적 리듬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거나 동결절이 아닌 다른 부위에서 리듬을 형성함으로써 부정맥이 발생하는 유형을 말합니다.
자극형성장애에 의한 부정맥은 발생 부위에 따라 심실상성 부정맥과 심실성 부정맥으로 구분됩니다.
심장의 위쪽 부분을 구성하는 심방은 좌심방과 우심방으로 나누어지며 심장의 아래쪽 부분을 구성하는 심실은 좌심실과 우심실로 나누어집니다.
심실상(上)성 부정맥은 심실의 위쪽에 위치하는 동결절이나 심방, 그리고 심방과 심실의 경계부위인 방실접합부의 전기 자극형성장애에 기인한 부정맥을 말합니다.
동결절의 자극형성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동결절이 아닌 다른 부위에서 전기 자극이 형성됨으로써 발생하는 부정맥으로 발생 부위에 따라 심방성 자극형성과 방실접합부성 자극형성으로 구분됩니다.
심실성부정맥은 심장의 아래부분을 구성하는 심실 부위의 전기 자극형성장애에 기인한 부정맥을 말합니다. 심실조기박동, 심실빈맥, 다형성 심실빈맥, 심실조동, 심실세동, 가속성 심실고유율동 등이 있습니다.
동결절이 만드는 심장의 전기적 리듬은 심장 내에 존재하는 전도섬유를 따라 심장 전체로 퍼져나감으로써 심장을 동결절의 리듬에 맞춰 박동하게 합니다.
이 유형의 부정맥은 심장의 전기신호 전도계에 발생한 이상으로 인해 동결절이 정상적인 전기리듬을 형성함에도 불구하고 심장이 정상적으로 수축하지 못하고 부정맥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동결절과 심방의 전도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한 부정맥
심방 내부의 전도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한 부정맥
심방과 심실 사이의 전도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한 부정맥
심실 내부의 전도기능장애로 인해 발생한 부정맥.
자극형성장애와 자극전도장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부정맥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