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혈압은 정상, 고혈압 전단계, 고혈압 1단계, 고혈압 2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상혈압은 동일한 성별과 연령을 가진 소아 혈압의 90 백분위수 미만인 경우를 말합니다. (여기서, 백분위수라 함은 측정치를 순서대로 나열한 값으로, 가장 작은 값을 1 백분위수, 가장 큰 값을 100 백분위수라고 정의하며, 비슷한 키를 가진 소아의 혈압과 비교해야 합니다.)
고혈압 전단계는 90-95 백분위수 미만 또는 이보다 적더라도 120/80mmHg 이상인 경우이며, 고혈압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요구되는 단계입니다.
고혈압 1단계는 95 백분위수에서 99 백분위수+5mmHg 사이이며, 고혈압 2단계는 99 백분위수+5 mmHg 이상인 경우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 키가 50 백분위수인 5세 남아 혈압의 95 백분위수는 수축기 혈압이 112mmHg, 이완기혈압은 72mmHg 정도로 이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미국소아과학회에는 만 3세 이후부터 정기적인 혈압측정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적절한 크기를 가진 혈압대로 수은혈압계를 이용한 청진법이 추천되고 있으며 외래에서 최소 3회 이상 고혈압으로 진단되어야 확진할 수 있습니다.
나이 | 혈압 백분위수 | 수축기 혈압, mmHg | 이완기 혈압, mmHg | ||||
---|---|---|---|---|---|---|---|
키 백분위수 | 키 백분위수 | ||||||
5th | 50th | 95th | 5th | 50th | 95th | ||
5세 | 50th | 90 | 95 | 98 | 50 | 53 | 55 |
90th | 104 | 108 | 112 | 65 | 68 | 70 | |
95th | 108 | 112 | 116 | 69 | 72 | 74 | |
99th | 115 | 120 | 123 | 77 | 80 | 82 | |
10세 | 50th | 97 | 102 | 106 | 58 | 61 | 63 |
90th | 111 | 115 | 119 | 73 | 75 | 78 | |
95th | 115 | 119 | 123 | 77 | 80 | 82 | |
99th | 122 | 127 | 130 | 85 | 88 | 90 | |
15세 | 50th | 109 | 113 | 117 | 61 | 64 | 66 |
90th | 122 | 127 | 131 | 76 | 79 | 81 | |
95th | 126 | 131 | 135 | 81 | 83 | 85 | |
99th | 134 | 138 | 142 | 88 | 91 | 93 |
예) 키가 50 백분위수인 5세 남아 혈압의 95 백분위수는 수축기 혈압이 112mmHg, 이완기혈압은 72mmHg정도로 이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제공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나이 | 혈압 백분위수 | 수축기 혈압, mmHg | 이완기 혈압, mmHg | ||||
---|---|---|---|---|---|---|---|
키 백분위수 | 키 백분위수 | ||||||
5th | 50th | 95th | 5th | 50th | 95th | ||
5세 | 50th | 89 | 93 | 96 | 52 | 54 | 56 |
90th | 103 | 106 | 109 | 66 | 68 | 70 | |
95th | 107 | 110 | 113 | 70 | 72 | 74 | |
99th | 114 | 117 | 120 | 78 | 79 | 81 | |
10세 | 50th | 98 | 102 | 105 | 59 | 60 | 62 |
90th | 112 | 115 | 118 | 73 | 74 | 76 | |
95th | 116 | 119 | 122 | 77 | 78 | 80 | |
99th | 123 | 126 | 129 | 84 | 86 | 88 | |
15세 | 50th | 107 | 110 | 113 | 67 | 65 | 67 |
90th | 120 | 123 | 127 | 78 | 79 | 81 | |
95th | 124 | 127 | 131 | 82 | 83 | 85 | |
99th | 131 | 134 | 138 | 89 | 91 | 93 |
예) 키가 50 백분위수인 10세 여아 혈압의 95백분위수는 수축기 혈압이 119mmHg, 이완기혈압은 78mmHg정도로 이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제공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만일, 전자혈압계로 95 백분위수 이상이라면 반드시 수은혈압계를 이용한 청진법으로 이를 검증해야 합니다. 3세 이전이라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병력을 가진 소아라면 정기적인 혈압측정이 필요합니다.
소아의 혈압을 처음 측정하는 경우는 반드시 사지의 혈압을 측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하지의 혈압이 상지의 혈압보다 10 mmHg정도 높은데, 상지 혈압이 더 높다면 대동맥 축착증이나 다까야스 동맥염 같은 드물지만 소아에게 가능한 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소아의 혈압을 측정할 때는 혈압대의 너비가 적당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압대 너비는 어린이 상완 중간 둘레의 약 40%정도 되는 것이 적당합니다. 좁은 혈압대를 쓰면 혈압이 실제보다 높게 나오고, 넓은 것을 쓰면 실제보다 낮게 나올 수가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예를 들어, 작은 어린이에게 성인 혈압대를 사용한다면 실제보다 혈압이 낮게 나와 고혈압 진단을 놓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의 혈압계가 있으며 그 중 청진법을 이용한 수은혈압계가 가장 정확합니다. 전자혈압계는 아직 표준화 및 품질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 시 주의가 요구되며 특히, 손목이나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전자혈압계는 매우 부정확하여 추천하지 않습니다.
나이 | 너비, cm | 길이, cm | 최대상완둘레, cm |
---|---|---|---|
신생아 | 4 | 8 | 10 |
영아 | 6 | 12 | 15 |
소아 | 9 | 18 | 2 |
작은어른 | 10 | 24 | 26 |
어른 | 13 | 30 | 34 |
작은 어린이에게 성인 혈압대를 사용하면 실제보다 혈압이 낮게 나와 골혈압 진단을 놓칠 수 있습니다.
수은혈압계, 전상 상환혈압계, 손목혈압계 이미지. 일반적으로 수은 혈압계가 가장 정확하며, 전자상환혈압계는 수축기 혈압은 비교적 정확하나 이완기 혈압에 오차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손목 혈압계는 부정확하여 추천하지 않습니다. 제공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고혈압으로 진단된 소아는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검사를 시행하여 이차적인 원인과 합병증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