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동상

증상

동상의 임상증상은 추운 환경에의 노출의 정도를 반영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손상부위의 감각저하이고 환자의 75%이상이 호소합니다.

경증의 동상은 얼음결정의 생성 및 조직의 손실이 없는 표피층의 냉동 손상인데 혈관의 수축으로 인하여 피부의 색깔이 창백해지고 손상부위의 불편감을 호소하게 됩니다. 재 가온을 하면 증상은 호전되고 조직의 손실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심한 통증은 조직의 재 관류에 수반되어 나타나고 둔하고 지속적인 통증이 48~72시간에 걸쳐 고동치고 쑤시는 양상의 통증으로 변해갑니다. 이러한 통증은 수주에서 수개월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동상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차갑고 창백한 손상부위, 감각저하 혹은 저린 듯한 증상,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르는 현상, 수포의 발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동상(frostbite)의 분류는 동상의 정도와 손상된 조직의 깊이에 따른 분류가 많이 사용되며 그림과 같습니다.

동상의 분류
*표재성 손상
1도: 부분적인 피부의 동경, 발적, 부종, 수포나 괴사는 없으며 때때로 손상 발생 5~10일후에 피부 박탈은 있을 수 있음, 일시적인 화끈거림, 고동치거나 쑤시는 양상의 통증, 땀이 많이 날 수 있음
2도: 피부전층의 손상, 발적, 부종, 맑은 액체가 들어 있는 작은 수포, 피부박탈 및 흉터를 일으키는 수포, 감각젛, 고동치거나 쑤시는 통증
*심부 손상
3도: 피부전층의 손상 및 피하층의 동경, 자주빛 혹은 출혈성 수포, 피부과시, 청회색으로 변색, 처음엔 손상부위가 나무 조각과 같이 무감각하다가 이후 화끈 거리고 쑤시는 듯한 양상의 통증
4도: 피부전층, 피하층, 근육, 인대, 뼈의 동결, 부종은 거의 없음, 초기에 얼룩덜룩한 반점, 진한빨강, 혹은 청색증, 이후 점차적으로 건조되면서 검은색으로 변함, 관절의 쑤시는 듯한 통증을 호소할 수 있음
보건복지부,대한의학회 제공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응급의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