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심잡음

원인

심잡음이 들린다는 것만으로 많은 사람들이 걱정을 합니다.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심장에서 잡음이 들린다는 것을 심장에 이상이 있다는 것과 동일하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심잡음이 모두 병적인 것은 아니지만, 심잡음에 대한 그릇된 인식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검사를 반복적으로 받게 되고 과도한 걱정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심잡음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하여 심잡음을 분류하면 병적 심잡음과 기능적 심잡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무해성 기능적 심잡음

무해성 기능적 심잡음은 심장에 구조적 이상이 없어도 들리는 잡음을 말합니다. 기능적 심잡음이 많이 들리는 경우는 갓 태어난 신생아와 학동기 아이에게서 입니다. 신생아 경우 약한 심잡음이 들리다가 수 주 내에 저절로 없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활동적인 학동기 어린이에게서 기능성 심잡음이 들렸다 말았다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등의 모양 등 신체 특성이 관련되기도 하고, 운동할 때 또는 열, 빈혈, 갑상선기능항진 등이 있을 때 기능적 심잡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혈액이 심장으로부터 뿜어져 나오는 상황에서 잡음이 잘 들릴 수 있습니다. 3살에서 7살 사이의 30%에 해당하는 어린이와 약 10%의 성인에게서 기능성 심잡음을 자세히 진찰하면 들을 수 있습니다. 기능적 심잡음은 성장함에 따라 없어질 수 있으며, 때로는 자세의 변화에 심잡음이 사라져 버립니다. 따라서 기능성 심잡음은 정상적인 심장을 가진 어린이에게서 흔히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심잡음이 들린다 하여 과도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심잡음의 발생기전

2. 병적 심잡음

의사들은 청진기로 심잡음을 듣고 무해성 기능적 심잡음과 병적 심잡음을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구분이 애매할 때에는 심초음파 검사를 하여 명확히 심장병 유무를 확인하여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 청진만으로 구별하여 심초음파검사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심장병이 있어 들리는 병적 심잡음은 심장 구조 중 구멍이 있거나, 방의 문짝에 해당하는 판막이 헐거워 역류하거나, 잘 열리지 않고 좁은 경우에 들립니다. 즉, 심잡음은 심장 판막이나 심장 내 구조적인 문제를 의미합니다. 또한 심장이 구조적으로 잘못 연결된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병적 심잡음은 많은 심장 질환에서 들을 수 있으며, 의사는 심잡음의 강도, 시기, 들리는 위치 등을 감안하여 심장병을 짐작합니다.

심잡음을 만드는 심장의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판막질환에 의한 경우

판막질환에 의한 경우

심장판막의 종류와 구조

2) 선천성 질환에 의한 경우

선천성 심장병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심장병입니다. 선천성 심장병은 많은 경우 심장 구조에 구멍(결손)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중격 결손

중격 결손은 심장 사이막에 구멍이 난 상태인데, 심장의 사이막 오른쪽과 왼쪽 방 사이의 벽에 구멍이 난 상태를 말합니다. 심실 사이막에 구멍이 나면 심실사이막(중격)결손이고, 심방 사이막에 구멍이 나면 심방사이막(중격)결손입니다. 심실사이막결손은 선천성 심장병 중 가장 흔한데, 심실사이막(중격)결손의 구멍이 크면 클수록 양쪽 심실 간의 압력 차이가 없어지면서 구멍을 통한 혈류의 흐름도 세지 않아 심잡음은 오히려 작아집니다. 구멍이 작은 것은 양쪽 심실 사이의 압력 차도 크고 혈류의 속도도 빨라 크고 높은 소리를 냅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한계를 넘어 구멍이 막힐 정도로 아주 작아지면 심잡음은 작아지고 저절로 막히면 완전히 심잡음이 소실됩니다. 정상인에서는 심잡음이 보통 들리지 않으나 혈류가 좁아진 심장 판막이나 혈관 또는 결손부위를 통과하면 혈류속도가 빨라지고 와류가 생겨 심잡음이 들리게 됩니다. 좁은 것이 심할수록 또는 구멍이 작을수록 전후 압력차이가 커지고 혈류 속도도 빨라져 심잡음이 더 크게 높게 들립니다.

(2) 동맥관 개존증

태어나기 전 모든 태아에게, 대동맥폐동맥 사이에는 동맥관이라는 연결 혈관이 있습니다. 아기가 태어나서 폐가 제 기능을 하게 되면 동맥관은 정상적으로 닫힙니다. 동맥관 개존증이 동맥관이 닫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열려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작성 및 감수 : 대한의학회_대한소아과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