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질병/건강정보

시스타티오닌뇨증(Cystathionuria)

1. 개요

질환주요정보

  • 관련질환명 : cystathionine gamma-lyase deficiency
  • 영향부위 : 체내-간, 뇌, 신장, 혈관(혈액)
  • 증상 : 걸음걸이의 이상, 지능저하, 응고장애
  • 원인 : CTH유전자 돌연변이
  • 진단 : 혈중 호모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의 증가, 소변 아미노산 검사
  • 치료 : 피리독신
  • 산정특례코드 : 없음
  • 의료비지원 : 미지원

2. 정의

시스타티오닌뇨증은 드문 대사질환으로 효소결핍에 의해 생기는 질환입니다. 결핍효소는 cystathionine gamma-lyase(또는 cystathionase)로서 이 효소는 메티오닌(methionine)을 시스테인(cysteine)으로 변환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이 질환은 1959년에 해리스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1983년도에 47명의 환자케이스를 모아 대사기전 및 임상양상에 대해 간략하게 보고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이 질환이 있는 환자는 무증상입니다.

3. 원인

cystathionine gamma-lyase 유전자인 CTH의 변이에 의해 생깁니다. 혈액 및 소변 내 시스타티오닌 증가의 원인으로는 조산아, 비타민 B6결핍증, 비타민 B12결핍증, 엽산(folic acid) 결핍증, 시스타티오닌을 분비하는 종양, 콩팥에서 시스타티오닌의 이송능력이 저하된 경우에도 이러한 유사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cystathionine gamma-lyase라는 효소의 활성도 가 감소하면 혈액이나 소변 내 더 높은 농도의 시스타티오닌 증가가 발생합니다.

시스타티오닌-감마-리아제는 시스타티오닌을 알파 케토부티레이트와 시스테인으로 변환하는데 이 시스타티오닌-감마-리아제의 변이가 일어나면 시스타티오닌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쌓여 농도가 진해집니다.

시스타티오닌 감마 라이에이즈의 결핍이 있을시 시스타티오닌의 농도는 올라갑니다. 시스타티오닌의 전구체는 호모시스테인(homocysteine)과 세린(serine)이며, 시스타티오닌은 형성된 후, 다시 알파 케토부티레이트(α-keto butyrate)와 시스테인으로 변환됩니다.

4. 증상

대부분이 무증상이지만, 간이 작아지고 섬유화가 진행되기도 합니다. 소변이나 혈중에서 시스타티오닌(cystathione)의 농도가 증가하며, 뇌척수액에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지능장애를 동반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시스타티오닌뇨증의 증상으로는 간위축 및 섬유화가 진행되며 소변이나 혈중에서 시스타티오닌의 농도가 증가합니다.

5. 진단

혈중이나 소변의 시스타티오닌 증가가 있을 시에 진단에 도움이 되며, CTH 유전자의 돌연변이 등을 유전자 분석(gene study)을 통하여 찾아낼 수 있습니다. 다른 원인에 의해 혈중이나 소변의 시스타티오닌이 증가된 경우가 있으며,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감별을 요합니다.

[혈중 및 요중 시스타티오닌 증가의 원인]

  • - 조산아
  • - 비타민 B6 결핍증
  • - 비타민 B12 결핍증
  • - folic acid 결핍증
  • - 시스타티오닌을 분비하는 종양
  • - 콩팥에서 시스타티오닌의 이송능력이 저하된 경우

산정특례 진단기준

이 질환은 산정특례 대상질환이 아닙니다.

6. 치료

메티오닌 섭취를 금하고 시스테인을 복용시키면 도움이 됩니다. 비타민 B6를 일반 섭취량의 100-500배를 섭취하는 것이 일부 환자에선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7. 기타정보

[참고문헌 및 사이트]

작성 및 감수 : 국립보건연구원_대한의학회_대한소아내분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