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병원의 가장 큰 목표는 지역민의 건강한 삶입니다.

척추/관절/기타질환정보

심장 판막 질환

관련신체부위 가슴
관련진료센터

본문

심장 판막 질환 


96c94766e4613140bc9f6d26e95dc10e_1530665442_9258.jpg
 

(정의)

사람의 심장은 서로 경계가 분명히 지워진 4개의 방(chamber)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방과 방 사이의 혈액 소통을 위하여 적절한 개폐 작용을 해주는 문짝이 필요한데 바로 이 구조물을 판막(valve)이라 부릅니다. 결국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심장판막 질환이란 판막의 열고 닫히는 개폐 작용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를 지칭합니다. 기능적으로 판막이 잘 열리지 않는 경우를 협착증이라 하고, 반대로 열리기는 잘하지만 꽉 닫히지 않아 피가 역류하는 경우를 폐쇄부전증이라고 합니다. 인체의 심장에서 방이 4개이므로 판막도 4가지가 있는데 흔히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위는 대부분 승모판막와 대동맥판막 두 곳입니다.

 

판막질환의 원인으로는 태어날 때부터 구조적 이상이 동반되는 선천적인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이는 매우 드문 현상입니다. 대개는 정상적으로 유지되던 판막이 후천적으로 구조적인 병변이 발생되어 기능장애를 초래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한 원인으로는 초등학교 혹은 중학교 시절 목감기의 후유증으로 류마티스열이라는 질환을 앓고 난 뒤 심장판막이 망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고열과 피부발진 혹은 관절통으로 입원하게 되나 이러한 증상이 좋아진 뒤 일부 환자에게서 심각한 후유증으로 심장판막에 병변이 초래됩니다. 대개 20대 혹은 그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특히 여성들은 임신 및 출산 전후로 심한 호흡곤란을 겪기도 합니다. 류마티스열 이외의 원인으로는 퇴행성 질환을 들 수 있습니다.

반복되는 개폐 작용 끝에 판막을 지지시켜주는 여러 구조물들이 낡게 되거나 문짝이 낡아서 주로 폐쇄부전증을 나타내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석회화가 진행되어 잘 열리지 않는 협착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심장판막의 구조적인 이상이 발생하여도 곧바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인체의 모든 장기가 그러하듯 심장도 기능의 여분이 많으므로 판막협착증 혹은 폐쇄부전증의 경우 심장은 그 나름대로 병적 상황에 적응을 하며 증상 발현을 최대한 억제하려는 보상 기전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심해지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게 되는데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입니다. 처음에는 심한 운동이나 움직일 때만 느끼다가 점차 악화되면 안정 시에도 호흡이 가빠지고 똑바로 누워서 잠을 못 자고 꼬박 앉아서 밤을 새우는 경우도 있게 됩니다. 이때에는 기침 및 가래가 심하며 흉통을 느끼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판막질환의 근본적인 치료는 결국 개폐작용이 원활하지 않은 병든 판막을 고쳐 주는 것입니다. 심장을 절개하여 병든 판막을 제거하고 인공 판막으로 대체하는 소위 판막치환술이 보편적으로 시행되며 환자의 나이나 성별 및 상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인공 판막을 선택하게 됩니다. 이 경우 수술 후에도 정기적인 검진 및 투약이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판막을 대체하지 않고 병든 자기 판막을 수선하여 계속 사용하게 하는 성형수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인공판막치환술보다는 수술 후 관리가 훨씬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는 이 성형술은 심장을 절개하여 시행하는 경우도 있지만 승모판 협착증에서는 전신마취나 심장절개의 부담 없이 혈관을 통하여 풍선을 삽입하고 좁아진 판막에 위치시킨 후 풍선을 압력으로 부풀려 좁아진 판막을 넓히는 경피적 승모판막 성형술로 원하는 효과를 얻는 경우도 많습니다. 판막 질환의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적절한 시기 선택입니다. , 단순히 판막 기능이 이상하다고 하여 수술을 서두르는 것은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수술 자체가 지니는 위험성 및 수술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인체의 적절한 보상 기전을 염두에 두고 내과적인 약물 치료로 충분히 안정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수술 시기의 선택이나 그 방법 선정(치환술 혹은 성형술)에는 반드시 심장내과 또는 흉부외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필요로 합니다.